티스토리 뷰
목차
건강보험료는 가계에 적잖은 부담이 되곤 합니다. 특히 육아, 실직, 재난, 장애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부담을 줄여주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음에도 잘 몰라서 놓치는 경우가 많죠. 이 글에서는 건강보험료의 감면, 경감, 면제 조건을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1. 건강보험료 감면 – 일시적 할인 혜택
▷ 육아휴직자 – 보험료 60% 감면
대상: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 둔 직장가입자
혜택: 최대 3년간 보험료의 60% 감면
신청: 회사가 공단에 신청
주의: 복직 후 원래대로 복구
💡 예시: 기존 보험료가 10만 원 → 감면 후 약 4만 원
▷ 실직·휴직자
피부양자 등록 가능: 소득 2천만 원 이하, 재산 5억 4천만 원 이하
불가할 경우: 지역가입자로 일부 감면
신청: 국민건강보험공단 직접 신청
💡 예시: 실직 후 배우자 직장가입자인 경우 보험료 0원
▷ 재난 피해자
대상: 태풍, 지진 등으로 재산 피해 입은 경우
혜택: 보험료 30~50% 감면
신청: 피해 증빙 후 신청
💡 예시: 주택 파손 시 보험료 절반 감면 가능
2. 건강보험료 경감 – 소득 및 재산 기준 적용
▷ 저소득층 – “희망플러스”
대상: 일정 소득 이하 지역가입자
혜택: 최저 보험료 약 2만 원까지 조정
신청: 공단 심사 후 승인
💡 예시: 보험료가 10만 원 → 약 2만 원으로
▷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
기초생활수급자: 전액 면제
차상위계층: 50% 감면
💡 예시: 기초생활수급자는 0원, 차상위는 절반 감면
▷ 장애인 – 30% 감면
대상: 등록 장애인
신청: 증명서 제출
💡 예시: 10만 원 → 7만 원
▷ 농어업인 – 22~28% 감면
대상: 등록된 농어업 지역가입자
💡 예시: 10만 원 → 7만 원 내외
▷ 다자녀 가구 – 50% 감면
대상: 미성년 자녀 3명 이상
신청: 가족관계증명서 제출
💡 예시: 10만 원 → 5만 원
3. 건강보험료 면제 – 전액 면제되는 경우
▷ 기초생활수급자
혜택: 신청 없이 전액 면제
▷ 국가유공자
혜택: 상황에 따라 전액 면제 또는 일부 감면
💡 예시: 유공자 본인 또는 유족은 보험료 0원 가능
4. 감면·경감·면제 신청 방법
방문: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직접 방문
전화: ☎ 1577-1000
결론
건강보험료는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감면·경감·면제 제도는 적극적으로 활용할수록 큰 도움이 됩니다.
각 제도는 조건이 명확하므로, 본인의 상황을 확인 후 신청해보세요.